it용어 썸네일형 리스트형 스택(stack)과 큐(queue) 스택(stack) 자료구조의 하나로써 자료의 삽입과 삭제가 한쪽 끝에서만 일어나는 선형 목록. 밑이 막힌 통 을 세워놓은것으로 생각하면 된다 자료의 삽입, 삭제가 일어나는 곳을 톱(top)라고 하며 자료를 스택에 넣는것을 푸쉬(push), 스택에서 자료를 꺼내는 것을 팝(pop)이라 한다. 스택에선 나중에 들어간 자료가 먼저 꺼내지므로 후입 선출(LIFO)이라고도 한다. 스택은 주로 어떤 내용을 기억시켰다가 다시 이용하고자 할때 사용하며, 컴퓨터 알고리즘에서 자주 쓰이는 중요한 자료 구조이다. 큐(queue) 리스트의 한쪽 끝에서만 삽입 삭제가 일어나는 스택과는 달리 리스트의 한쪽 끝에서는 원소들이 삭제되고 반대쪽 끝에서는 원소들의 삽입만 가능하게 만든 순서화된 리스트. 가장 먼저 리스트에 삽입된 원소가.. 더보기 데크(double ended queue, deque) 삽입과 삭제가 목록의 양쪽 끝에서 허ㅛㅇ되는 선형 목록의 한 형태. 입력이 한족 끝으로만 가능하도록 제한한 데크는 스크롤이라고 하고, 출력이 한쪽 끝으로만 가능하도록 제한한 데크는 셸프(shelf)라고 한다. 출처]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데크 더보기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