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택(stack)
자료구조의 하나로써 자료의 삽입과 삭제가 한쪽 끝에서만 일어나는 선형 목록. 밑이 막힌 통 을 세워놓은것으로 생각하면 된다 자료의 삽입, 삭제가 일어나는 곳을 톱(top)라고 하며 자료를 스택에 넣는것을 푸쉬(push), 스택에서 자료를 꺼내는 것을 팝(pop)이라 한다. 스택에선 나중에 들어간 자료가 먼저 꺼내지므로 후입 선출(LIFO)이라고도 한다. 스택은 주로 어떤 내용을 기억시켰다가 다시 이용하고자 할때 사용하며, 컴퓨터 알고리즘에서 자주 쓰이는 중요한 자료 구조이다.
큐(queue)
리스트의 한쪽 끝에서만 삽입 삭제가 일어나는 스택과는 달리 리스트의 한쪽 끝에서는 원소들이 삭제되고 반대쪽 끝에서는 원소들의 삽입만 가능하게 만든 순서화된 리스트. 가장 먼저 리스트에 삽입된 원소가 가장 먼저 삭제되므로 선입선출 인 FIFO(first in first out) 리스트 라고도 한다.
출처]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 스택
전산용어사전편찬위원회(컴퓨터인터넷IT용어대사전)_네이버 지식백과 : 큐
'it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지털 아카이브(Digital Archive) (0) | 2021.12.18 |
---|---|
데이터 3법 (0) | 2021.12.11 |
기계독해(Machine Reading Comprehension, MRC) (0) | 2021.11.27 |
개방형 오픈 접속망(Open-RAN) (0) | 2021.11.20 |
데크(double ended queue, deque) (0) | 2021.1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