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랫폼 기능 또는 컨텐츠를 외부에서 웹 프로토콜(HTTP)로 호출하여 사용할 수 있게 개방한 API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는 운ㄴ영체제(OS)나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앱), 라이브러리 등을 활용하여 응용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게 하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의미한다. 오픈 API는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공개된 API이다.
앱을 만드는 개발자가 매번 서비스에 필요한 모든 데이터를 개별 수집하고 인터페이스를 새로 짜는 것은 사회 낭비다. API를 활용하면 이미 갖춰진 정보와 인터페이스르 일정 수준으로 개방된 상태에서 가져와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다. 포털이 제공하는 지도 서비스를 활용하여 맛집 정보 서비스를 앱으로 구현하거나 번역 API를 따와 다국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례도 모두 API 활용에 해당한다. 만약API가 라이브러리와 함께 제공되면 소프트웨어 개발도구(SDK: software Development Kit)라고 한다.
네이버, 카카오, 구글, 페이스북을 포함한 플랫폼 기업은 지도, 음악, 비즈니스, 날씨, 쇼핑, 누리소통망 서비스(SNS) 등 다양한 데이터를 오픈 API 방식으로 제공하고 있다. 국가도 전국 공공시설 정보나 대주교통 운행 정보와 같은 데이터를공공 API로 개방한다. 오픈API는 대부분 무료로 제공되지만 종류에 따라 호출할 수 에 제한을 두거나 초과 사용을 원할 경우 별도 비용을 받기도 한다. 구글은 2018년 하반기부터 지도API를 유료로 하였느네 월 200달러 상당의 무료 크레딧을 소진하면 유료로 전환된다.
포털 외에도 금융권, 솔루션 기업에서 다양한 오픈API 사례가 나오고 있다. 이는 자사 기술 생태계를 넓히려는 의도다. 2020년 9월에 SK그룹이 구축한 'SK오픈 API포털', 11월 하나금융이 선보인 통합'오픈 API플랫폼'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출처]
한국정보통신협회(최신ICT시사상식2021): 오픈 API
'it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 활용능력(Data Literacy) (0) | 2022.03.13 |
---|---|
데이터 과학(Data Science) (0) | 2022.03.06 |
아두이노(Arduino) (0) | 2021.12.25 |
디지털 아카이브(Digital Archive) (0) | 2021.12.18 |
데이터 3법 (0) | 2021.12.11 |